반응형
국가의 경계 너머, 인간의 존엄을 증언하다
왜 지금, 『역사의 증인, 재일조선인』을 읽어야 할까?
오늘날 ‘다문화’, ‘이주’, ‘경계인’이라는 키워드는 더 이상 낯설지 않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우리 사회는 타자에 대한 이해와 연대에 인색하죠.
이 책은 그런 우리에게 던지는 묵직한 질문입니다.
💡 "우리는 얼마나 타인의 고통에 무관심한가?"
💡 "국적과 민족은 정체성을 결정짓는 절대 기준인가?"
책 소개: 『역사의 증인, 재일조선인』은 어떤 책인가?
- 저자: 서경식
- 출간: 반비, 2012년
- 장르: 인문·사회비평 에세이
- 주제: 재일조선인의 역사, 정체성, 국민국가의 한계
재일조선인의 기원, 그 비극의 출발선
시기 | 사건 | 의미 |
---|---|---|
1910년 | 한일병합 | 강제 이주 시작 |
1945년 | 해방 이후 | 국적 없는 존재로 |
이후 | 한국/북한 선택 강요 | 정치적 이분법의 피해자 |
🔍 ‘재일조선인’은 식민주의가 만들어낸 존재입니다.
서경식이 말하는 정체성의 딜레마
그는 일본 국적도, 한국 국적도 선택하지 않았습니다. 왜냐고요?
"나는 국가가 나를 어떻게 기억하는가에 따라 소속을 선택하겠다."
정체성과 국적의 의미를 다시 생각하게 만듭니다.
가족의 이야기로 본 집단의 역사
- 형 서승: 한국에서 정치범 수감
- 형 서준식: 통일운동으로 탄압
- 저자 서경식: 무국적자로 살아감
이들은 단지 개인이 아닌, ‘역사의 증인’이었습니다.
일본 대학에서의 강의, 충격을 던지다
“이런 역사를 처음 알았어요.”
“알았더라면 무관심하지 않았을 거예요.”
문학과 예술로 저항하기
시인 김시종 등 재일조선인 예술가들의 시와 문학은 ‘혼종의 언어’로 저항의 메시지를 전합니다.
한국 사회는 왜 그들을 외면했는가?
한국 사회도 이들을 ‘제대로 품지 못한 책임’에서 자유롭지 않습니다.
정치적 환영은 있지만, 실질적 연대는 부족했습니다.
독후 포인트 요약
핵심 키워드 | 내용 요약 |
---|---|
디아스포라 | 경계인으로 살아간 재일조선인의 삶 |
정체성 | 국적 없는 존재의 철학적 저항 |
역사 | 망각된 식민 피해자의 기억 |
문학 | 저항과 치유의 언어 |
윤리 | 타자의 고통을 기억하는 연대 |
마무리하며: 기억은 윤리이고 연대는 선택이다
『역사의 증인, 재일조선인』은 과거를 되돌아보게 하면서
오늘날의 차별과 혐오를 돌아보게 만드는 강력한 증언입니다.
무관심은 중립이 아닙니다.
이 책을 읽는다는 건, 역사의 증인이 된다는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