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균"에 대해 알고 계신가요? 식중독 예방

by allweatherblog 2025. 4. 13.
반응형

 

요즘 날씨 좋아서 도시락 싸들고 소풍도 자주 가는데, 괜히 찜찜하네… 음식 보관 잘해야겠다!

따뜻한 날씨가 이어지는 봄철, 소풍과 야외활동이 많아지는 시기입니다. 하지만 이런 시기일수록 조심해야 할 것이 바로 ‘봄철 식중독’이죠. 그중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균(Clostridium perfringens)은 이름은 낯설지만 매우 흔한 식중독 원인균입니다.


🔬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균이란?

이 균은 산소가 없는 환경에서도 잘 자라는 혐기성 세균으로, 열에 강한 아포(spore)를 형성해 고온에서도 살아남습니다. 특히 대량 조리 후 실온에 방치된 음식에서 빠르게 증식해 식중독을 유발합니다.

  • 감염 증상: 복통, 설사, 구토, 복부 팽만감 (감염 후 8~12시간 이내 발생)

📈 최근 뉴스 및 발생 동향

식약처에 따르면 최근 3년간 퍼프린젠스균 식중독 환자의 42% 이상이 봄철(3~5월)에 집중 발생했다고 밝혔습니다.

  • 주요 장소: 급식소, 외식업체, 야외 행사장
  • 주요 음식: 제육볶음, 불고기, 찜닭, 도시락
  • 발생 원인: 실온 방치, 보관 부주의, 재가열 부족

📎 전북일보 관련 기사 보기


⚠️ 퍼프린젠스균, 왜 위험할까요?

항목 내용
생존력 아포 형태로 열에 강함 (100℃에서도 생존 가능)
증식 속도 10분마다 2배 이상 증식 (실온 기준)
감염 경로 감염된 음식 섭취 시 직접 전염
감염 증상 복통, 설사, 메스꺼움, 탈수

🛡️ 퍼프린젠스균 식중독 예방법

  1. 충분히 가열하기 – 중심온도 75℃ 이상에서 1분 이상 조리
  2. 빠른 냉장보관 – 조리 후 즉시 소분하여 5℃ 이하 보관
  3. 재가열 철저히 – 먹기 전에는 다시 75℃ 이상 재가열
  4. 조리도구 위생 – 칼, 도마, 집게 분리 사용 및 소독
  5. 손 씻기 실천 – 조리 전후 비누로 30초 이상 손 씻기

📌 자주 검출되는 위험 식품

구분 음식 예시 주의 사항
육류 조리식품 제육볶음, 불고기, 닭볶음탕 중심온도 확인, 대량 조리 시 주의
도시락/배달식 김밥, 찜닭, 볶음밥 도시락 실온 방치 금지, 빠른 냉장 필수
단체 급식용 찜류 장조림, 갈비찜 실온 방치 시 빠른 냉장 전환

📚 참고 자료


✅ 봄철 나들이, 도시락 안전하게 준비하는 법

봄철에는 음식이 쉽게 상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리와 보관 과정에서 조금만 소홀해도 대형 식중독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충분히 익혔으니 괜찮겠지”라는 방심보다는, 익힌 후의 보관과 재가열이 훨씬 더 중요합니다. 소풍이나 도시락 준비하시는 분들, 오늘부터라도 안전 수칙을 실천해 보세요!

 

 

식중독 예방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