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 육아지원 3법 & 세제 혜택 완전 정리] 부모가 꼭 알아야 할 개정 내용 총정리

by allweatherblog 2025. 4. 6.
반응형

 

 

부모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제도 변화

2025년 2월, 육아와 출산 관련 제도에 큰 변화가 찾아왔습니다. 바로, 근로자의 임신·출산·육아를 전방위로 지원하는 ‘육아지원 3법’ 개정과 함께 세제 혜택 확대가 본격적으로 시행되기 때문이죠.

육아지원 3법이란?

‘육아지원 3법’은 다음 세 가지 법률을 말합니다.

  • 근로기준법
  •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 고용보험법

육아지원 3법

근로 및 복지제도 변화 요약

항목 개정 전 내용 개정 후 내용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 임신 12주 이내 또는 36주 이후 임신 32주 이후로 확대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대상 만 8세 또는 초등 2학년 이하 만 12세 또는 초등 6학년 이하
출산전후휴가 90일 100일 (미숙아 출산 시)
배우자 출산휴가 10일 (1회 사용) 20일 (최대 4회 분할 가능)
난임치료휴가 연 3일 (유급 1일) 연 6일 (유급 2일)
육아휴직 기간 부모 각각 1년 각각 1.5년 (3개월 이상 사용 시)
연차휴가 불이익 단축 시 불이익 가능 단축 사용도 출근으로 간주
난임휴가 개인정보 보호 기준 미흡 비밀 유지 의무 강화

세제 혜택 변화 요약

항목 개정 전 내용 개정 후 내용
산후조리원 비용 공제 총급여 7천만 원 이하만 공제 소득 무관 전 근로자 공제 가능 (최대 200만 원)
출산·보육수당 비과세 월 10만 원 월 20만 원까지 확대
자녀장려금 소득 4천만 원 이하, 최대 80만 원 소득 7천만 원 이하, 최대 100만 원
결혼세액공제 해당 없음 혼인 시 최대 100만 원 공제 (생애 1회)
영유아 의료비 공제 연 700만 원 한도 6세 이하 의료비 한도 없이 전액 공제

누가 챙겨야 할까?

  • 임신·출산 예정 근로자
  • 초등학생 이하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
  • 난임 치료 중인 가정
  • 결혼 예정 또는 최근 결혼한 부부
  • 기업의 인사/회계 담당자

실생활 적용 팁

  • 산후조리원 비용 영수증은 연말정산 대비 필수
  • 육아휴직 시 고용보험 홈페이지 통해 금액 및 자격 확인
  • 난임휴가 신청 시 비밀보장 요청 가능
  • 회사 인사담당자는 연차 산정 기준 변경 반영 필수

마무리 한마디

이번 육아지원 3법과 세제 개편은 단순한 ‘복지 혜택’이 아니라 삶의 질을 바꾸는 변화입니다.
부모가 안심하고 아이를 낳고, 함께 키우며 일도 계속할 수 있는 환경.
지금이 제도를 알고 활용할 가장 좋은 시점입니다.

반응형